Corporate News
-
View More
큐렉소, 티솔루션원 미국 병원에서 본격적 수술 시작
티솔루션원 시연회큐렉소는 투자회사인 미국법인 씽크써지컬(Think Surgical Inc.)이 헤켄섹 대학병원(Hackensack University Medical Center)등 총 3곳에 판매계약이 체결되어 있으며 이 제품은 작년 10월 FDA승인을 마친 것으로, 국내 및 해외 판매망 확보에 힘을 쏟고있다.이 제품은 작년 10월 FDA승인을 마친 것으로, 국내 및 해외 판매망 확보에 힘을 쏟고있다.큐렉소는 "완전자동(액티브) 수술로봇인 티솔루션원의 독특한 장점으로 미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며 "안전성과 효과성이 미국 의사들에게서 인정을 받고 있다는 증거다"고 밝혔다.지난 10일 헤켄섹 대학병원에서, 티솔루션원(TSolution One)을 활용한 미국 최초의 무릎인공관절수술을 진행하여 그 효과성을 입증했다.헤켄섹 대학병원은 "수술을 진행한 64세 환자는 지난 6개월여 관절염이 악화되고 통증이 심해 주사 및 물리 치료등의 비 수술 치료는 효과가 없었다." 며 "티솔루션원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무릎인공관절수술이 증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이어 파슈 로버트(FACHE Robert C. Garrett) 병원장은 "우리는 티솔루션원의 첨단 로봇 기술을 사용하여 정형 외과 치료를 적용한 최초의 병원이다" 며 "티솔루션원 시스템은 골관절염 환자에게 맞춤 수술 계획과 정확한 뼈 절삭 기술을 제공하고 더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었다" 고 밝혔다.티솔루션원은 고성능 컴퓨터로 환자의 환부를 정확히 파악해 깎을 뼈의 위치와 각도를 계산해 수기수술보다 높은 정확도로 로봇이 뼈를 깎아낸다. 더욱 향상된 안전성과 정확도로 수술이 가능할 뿐 아니라 사용자인 의사 편의를 최대한 살려 수술자의 피로감을 줄인 것이 특징이다.큐렉소 이재준 대표는 "독자모델 무릎관절 수술 로봇인 '큐비스-조인트'에 대해 작년 12월 식약처 품목허가를 신청했으며, 허가가 완료되면 사용 병원을 늘려 임상 레퍼런스를 확보하여 국내 및 해외시장으로 사업을 확대 해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한편 큐렉소는 척추수술로봇 '큐비스-스파인(CUVIS-spine)'과 보행재활로봇 '모닝워크(Morning-Walk)'로 정부에서 추진 중인 로봇보급사업 과제 참여 기관으로 참여하여 의료로봇의 보급을 더욱 확산할 계획이다.출처 : 뉴스타운(http://www.newstown.co.kr)
Date : 2020-03-11
뉴스타운
-
View More
CUVIS-spine 제품 촬영
Date : 2020-03-05
-
View More
큐렉소 티솔루션원, 미국서 연이은 판매계약 체결
의료로봇 전문기업 큐렉소는 투자회사인 미국법인 씽크써지컬이 INOV8 수술센터에서 인공관절 수술로봇 '티솔루션원(TSolution One)' 추가 판매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지난달 2일 미국 내 첫 판매계약 후 연달아 체결한 것이다.INOV8 수술센터는 미국 최초의 외래 환자 수술 센터로 휴스턴에 본사를 두고있다.< width="100%" height="100%" class="ip-engine" border="0" marginwidth="0" marginheight="0" scrolling="no" vspace="0" hspace="0">스태판 크루져 INOV8 수술센터 설립자(정형외과)는 "골관절염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허가를 받은 이후 혁신적인 기술을 탑재한 액티브 로봇 시스템을 제공하는 텍사스의 첫번째 수술 센터가 됐다"고 밝혔다.씽크서지컬 존 한 CEO는 "티솔루션원은 외과의사들이 무릎 관절수술을 더 정확하고 정밀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정형외과 분야를 발전시키고 있다"며 "INOV8 수술센터와 협력으로 환자들에게 로봇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밝혔다.티솔루션원은 현재 국내 병원에서 사용중인 인공관절수술로봇 '로보닥(Robodoc)'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CT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수술을 계획하고 서브밀리미터의 정확도 이내에서 뼈를 깎는 완전자동 수술로봇이다.이 시스템은 오픈 임플란트 라이브러리를 제공하여 외과의사들이 다양한 옵션에서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임플란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게 장점이다.큐렉소 이재준 대표는 "지난 10월 FDA 승인을 받고, 올 1월 초 헤켄색 대학병원에 이어 INOV8 수술센터와 판매계약 체결은 세계에서 가장 큰 의료기기 시장인 미국에서 본격적인 판매가 시작되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며 "이는 완전자동화 수술로봇 타입인 티솔루션원의 안전성과 효과성이 미국 의사들에게 인정을 받았다는 것"이라고 했다.한편 큐렉소는 독자모델 무릎관절 수술로봇인 '큐비스-조인트'에 대해 지난해 12월에 식약처 품목허가를 신청한 바 있다.원문: https://www.fnnews.com/news/202002120957008103
Date : 2020-02-12
파이낸셜 뉴스
-
View More
큐렉소 상·하지재활로봇, 2대 동시 판매계약 체결
(왼쪽)큐렉소의 하지재활로봇 '모닝워크'와 (오른쪽) 바이오닉의 상지재활로봇 '인모션'(사진_큐렉소)[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의료 로봇 전문기업 큐렉소(060280)는 서송재활요양병원과 재활로봇 '모닝워크'(Morning Walk) 및 '인모션'(InMotion) 제품 판매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수입판매 허가 이틀만의 쾌거로 큐렉소는 지난 14일 캐나다 바이오닉사의 인모션 제품 수입허가를 획득한 바 있다. 큐렉소 관계자는 "이번 판매계약은 로봇재활 토털라인업 구축으로 이뤄낸 첫번째 성과물"이라며, "상지재활을 돕는 인모션 제품에 하지보행재활로봇 모닝워크를 더한 토탈 재활 솔루션은 판매망 구축 및 가속화에 시너지를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상지재활로봇 인모션은 상지마비 및 기능저하 환자를 위한 재활 훈련용 로봇으로 전세계 20여개국, 200여곳 이상의 병원에서 사용 중인 제품이다. 로봇이 환자와 상호작용으로 부족한 능력을 분석하고 치료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신경가소성을 높여 일반적인 재활치료보다 회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모닝워크'는 발판-안장형 구조로서 보행능력 회복을 위한 근육재건, 관절 운동기능 회복 등에 사용되는 로봇시스템이며 외골격형 로봇에 비해 평지, 계단 등의 다양한 보행훈련을 제공하고, 치료 준비시간이 짧은 특장점을 가지고 있다.이 제품은 국내 허가 및 CE, FDA를 마친 것으로, 회사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 판매망 확보에도 힘을 쏟고있다. 현재 국내에서 모닝워크를 사용중인 병원은 이번에 추가 된 곳을 비롯해 총 12곳으로 확대됐다. 한편 서송재활요양병원은 올 3월 720병상 규모로 인천시 계양구에 개원 예정이다. 이 병원은 집중적인 재활이 필요한 아급성기 환자뿐만아니라 장기요양이 필요한 만성기 환자 및 노인성 질환자에게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갖추고 있다. 출처 :http://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9791
Date : 2020-01-16
시사매거진
-
View More
큐렉소, 상 하지 로봇재활 토털라인업 구축
【후생신보】 의료로봇 전문기업 큐렉소가 상지재활로봇 '인모션'(InMotion)의 수입허가를 획득하며, 재활분야 상, 하지 토털라인업으로 국내 재활시장 공략을 가속화 하고 있다. 큐렉소는 세계최초 상지재활로봇 제조사인 캐나다 바이오닉사 와 국내 독점 판매계약을 체결하고 상지재활로봇 '인모션(InMotion)'의 수입허가를 획득했다고 14일 밝혔다. 인모션은 상지마비 및 기능저하 환자를 위한 재활 훈련용 로봇으로 전세계 20여개국, 200여곳 이상의 병원에서 사용 중인 제품이다. 환자는 로봇암(Arm)에 팔을 지지하고 화면을 보며 증상과 상태에 따라 적절한 강도의 치료를 받는다. 치료 시 환자 팔의 위치, 속도, 힘을 초당 200번 이상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분석해 환자의 부족한 부분에 맞는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다. 이처럼 로봇이 환자와 상호작용으로 부족한 능력을 분석하고 치료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신경가소성을 높여 일반적인 재활치료보다 회복속도가 빠르다는 평이다. 큐렉소 이재준대표는 "인모션은 전세계에서 상지재활로봇에 대한 많은 연구 논문을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되어온 제품"이라며, "바이오닉사 의 제품을 사용해본 국내 유저의 만족도가 높아 최신 제품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이어, "자사의 하지 보행재활로봇 '모닝워크'에 바이오닉사 의 '인모션'을 더한 로봇재활 토털라인업 구축은 국내 재활시장을 더욱 활성화시킬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11개 병원에서 사용중인 큐렉소의 '모닝워크'는 발판기반의 안장형 보행재활로봇으로 발판센서를 통해 실시간 측정되는 지면반발력으로 보다 효과적인 보행치료를 할 수 있는 제품이다.국내 허가 및 CE, FDA를 마친 제품으로, 회사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 판매망 확보에도 힘을 쏟고있다. 한편, IBM의 계열 연구소 윈터그린리서치에 따르면 전세계 재활로봇 시장규모는 연평균 35%이상으로 급성장해, 2019년 1조원에서 2020년 1.4조원, 2021년에는 2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원문: http://www.whosaeng.com/115277
Date : 2020-01-16
후생신문
-
View More
[강소기업] 큐렉소, 인공관절 `수술로봇` 개발…호주·日 등 국외판매 속도
의료용 수술로봇 전문업체 큐렉소는 한국야쿠르트 관계사다.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던 회사가 전신이지만, 2006년 미국 인터그레이티드서지컬시스템(ISS)에서 인공관절 수술로봇 `로보닥` 사업재산권을 인수하면서 수술로봇 시장에 진입했다. 한국야쿠르트에 인수된 건 2011년이다. 로보닥은 미국 제품이지만 로봇팔 부분은 국산화에도 성공했다.< name="google_ads__/7450/MK_Website/mk_news/business_4" width="2" height="1" ="3rd party ad content" id="google_ads__/7450/MK_Website/mk_news/business_4" border="0" marginwidth="0" marginheight="0" scrolling="no" style="border: 0px currentColor; border-image: none; vertical-align: bottom;" data-load-complete="true" data-google-container-id="77c7febc79a687e4e469ece5691da44e">로보닥은 세계 최초 인공관절 수술용 로봇으로, 컴퓨터단층촬영(CT) 영상을 입체로 재구성해 수술 방향과 각도를 정확하게 찾아낸다. 이전에 인공관절 수술은 2차원인 X선 영상을 보면서 이뤄졌기 때문에 불필요한 부위까지 잘라냈다. 그러나 로보닥은 3차원 영상을 이용해 뼈절삭 작업에 대한 정확도를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때문에 의사 숙련도에 따라 수술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가 개선될 수 있었다. 2014년에는 기존 로보닥을 업그레이드한 `티솔루션 원`을 출시했다. 로봇팔 구동 방식을 개선해 수술 범위를 넓히고 의사가 의도하는 대로 정확하게 뼈를 깎을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했다. 매우 높은 정확도로 뼈를 자동으로 깎을 수 있다. 큐렉소는 2017년 미국 투자회사 싱크서지컬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판매권을 확보한 뒤 국외 판매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큐렉소 관계자는 "베트남, 인도 등에서 로봇 인공관절 수술에 대한 관심이 많고 의료진 방문이 줄을 잇고 있다"며 "지난해 11월에는 베트남 투득병원 의료진이 방문해 제품 교육과 수술 참관을 했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호주, 일본, 베트남, 인도, 인도네시아 등 총 7개 지역과 대리점 계약을 체결했다. 그중 베트남, 인도네시아, 호주는 판매를 위한 자국 인허가도 마친 상태다. 큐렉소는 인공관절 수술용 로봇 성공을 바탕으로 다른 분야까지 개발을 확장하고 있어 주목된다. 2017년에는 현대중공업 의료사업부문을 인수해 보행 재활로봇 `모닝워크(Morning Walk)` 판매에도 나섰다. 2018년부터는 독자 수술로봇 개발에도 뛰어들었다. 특히 척추 수술로봇(큐비스-스파인)과 관절수술로봇(큐비스-조인트)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이런 노력에 힘입어 지난달 큐비스-조인트에 대한 국내 허가를 신청했다. 큐렉소가 내놓은 첫 번째 척추 수술로봇인 큐비스-스파인은 지난달 12일 국내 허가를 획득했다. 이재준 큐렉소 대표는 "큐비스-조인트는 수술 중 결과를 예측·평가하고 그에 따라 수술계획 일부를 변경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보강한 완전 자동 수술로봇"이라며 "현재 상용화돼 있는 관절치환수술 의료기들 장점을 결합시킨 제품"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큐렉소는 매출액 339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38억원 적자를 기록했지만 한국야쿠르트는 오히려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지난해 초에는 연결 자회사 싱크서지컬에 약 570억원을 투자하기도 했다. 지난해 한국야쿠르트는 당기순이익 357억원을 올렸는데,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큐렉소가 한국야쿠르트의 신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원문: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01/17625/
Date : 2020-01-08
매일경제
-
View More
[인터뷰] 국산화 성공 큐렉소, '척추·관절' 수술로봇 양날개로 '비상'
수술로봇 국산화 길 연 큐렉소 이재준 대표 인터뷰올 2분기 척추수술로봇 美 FDA 허가 신청현대중공업 로봇사업부 인수 후 2년만 결실하반기 관절수술로봇 식약처 허가 획득 예상'임틀란트-로봇회사' 짝짓기 국내도 시작될 거 왼쪽부터 큐비스-조인트, 이재준 큐렉소 대표, 큐비스-스파인 (사진=큐렉소 제공)[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올해 2분기에 독자개발한 척추수술로봇(큐비스-스파인)의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한 식품의약국(FDA) 승인 신청에 나섭니다. 식약처 심사 중인 관절수술로봇(큐비스-조인트)도 하반기 허가를 예상합니다."수술로봇 국산화의 문을 열어젖힌 큐렉소(060280)의 이재준 대표는 올해 비상을 꿈꾼다. 지난 30일 서울 강남 큐렉소 본사에서 만난 이 대표는 올해를 본격적인 수술로봇 '개발사'로의 행보를 시작하는 원년으로 삼겠다는 당찬 포부를 밝혔다. 큐렉소의 관절수술로봇은 CT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무릎 관절 전체를 임플란트로 바꿔주는 관절치환수술을 할 때 뼈를 정밀하게 깎아주는 로봇이다. 척추수술로봇은 2차원(C-Arm)과 3차원 영상(O-Arm)에 기초해 허리디스크 등 환자의 척추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척추고정술의 나사못을 박는 위치를 자동으로 잡아주는 의료기기다. 사람의 손떨림이나 눈의 한계를 넘는 정밀함(1mm 미만)이 강점이다. 수술 도중 엑스레이를 계속 찍어 수술진행 과정을 확인해야 하는 기존 수술보다 방사선 피폭량도 줄여 의사나 환자 모두에게 이롭다. 큐렉소는 의료용 수술로봇 전문기업이다. 하지만 그간 미국에 본사를 둔 투자회사(지분 33%) 티에스아이(TSI)가 연구개발한 인공관절 수술로봇 '티솔루션원'(TSolution One)의 아시아·태평양지역 판매에 주력해왔다. 티솔루션원은 세계최초 수술로봇인 '로보닥'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그러다 2017년 현대중공업의 로봇사업부를 인수하면서 자체 수술로봇 개발에 착수했다. 지난달 국산 1호 독자개발 척추수술로롯의 식약처 허가를 얻어 2년만에 결실을 맺었다. 이어 며칠 뒤에는 관절치환수술로봇의 국내 허가 신청도 완료했다. 수술로봇 '투자사'에서 자체 '개발사'로 완전히 발돋움 한 셈이다.이 대표는 "투자 비용 등에 비해 이사회 구성원 일원으로 TSI에 제품 개선을 요구하고 현지 기술인력에게서 피드백을 받는 것이 쉽지 않았다"며 "시간과 비용면에서 독자 개발에 나서는 게 효율적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10여년간 국내외에서 로보닥과 티솔루션원을 판매하며 쌓아온 무형 자산도 있었다. 병원의 핵심 개발 요구사항과 기술개발 방향, 업계 흐름에 대한 산 지식도 체화한 상태였다.그는 특히 관절 등의 임플란트 회사와 수술로봇 회사와의 인수합병이나 협력이 활발해지고 있는 세계적 흐름에 주목했다. 이 대표는 "미국에서 관절 임플란트 회사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수술로봇 회사를 끌어안고 있다"며 "모두가 자체 수술로봇 개발을 할 수는 없어 우리에게도 기회가 생길 것"이라고 설명했다..실제 2018년 임플란트 등 글로벌 의료기기 회사인 메드트로닉은 이스라엘 척추수술로봇 개발사인 마조 로보틱스를 16억 달러(1조8500억원)에 인수했다. 이에 앞서 인공관절 강자 스트라이커도 지난 2013년 정형외과 로봇회사 마코 서지컬을 16억5000달러(1조9000억원)에 사들였다. 이는 복강경 수술에 주로 머물던 수술로봇시장이 인공관절 등으로 확대되는 선제적 흐름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중국을 포함해 해외에서도 실제 러브콜이 들어오고 있다"고 "협력할 수 있는 파트너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 인공관절시장 규모는 매년 3.6% 성장세를 보여 2021년에는 181억 달러(21조원)로 예상된다. 원문: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270566625633784&mediaCodeNo=257&OutLnkChk=Y
Date : 2020-01-03
이데일리
-
View More
MORNING-WALK 제품 촬영
Date : 2020-01-02
-
View More
큐렉소, 관절수술로봇 '큐비스-조인트' 국내허가 신청
의료로봇 전문기업 큐렉소는 네비게이션 기반의 관절치환수술로봇 큐비스-조인트 제품의 국내 허가를 신청했다고 17일 밝혔다.이는 큐렉소의 수술로봇 브랜드 큐비스(CUVIS)의 두 번째 로봇으로, 첫번째 척추수술로봇인 큐비스-스파인은 지난 12일 국내 허가를 완료한 바 있다.큐렉소가 독자 개발한 '큐비스-조인트(CUVIS-joint)'는 회사가 오랫동안 운영해 오던 액티브 수술로봇에 사용자 요구사항을 반영해 개발한 관절치환수술로봇이다.영상카메라 기반의 네비게이션 기능을 통합한 이 제품은 큐렉소 자체 기술력으로 탄생했으며, CT 기반의 수술계획 프로그램은 국내 소프트웨어 업체와의 협력으로 개발했다.큐렉소 이재준 대표는 "오랜 기간 쌓아온 국내 관절치환수술로봇 상용화 및 수술기법 개발경험으로 시장에 적합한 핵심 개발요구사항을 잘 알고 있다"며 "큐비스-조인트는 사용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수술 중 결과를 예측, 평가하고 그에 따라 수술계획 일부를 변경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보강한 완전자동 수술로봇으로 현재 상용화돼 있는 관절치환수술 의료기 들의 장점을 결합시킨 제품"이라고 설명했다.이어 그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연구단계에서 제품 개선을 거듭했으며 1차 개발 목표를 완료하고 연내 인허가 신청을 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큐렉소는 그 동안 국내와 아시아 지역을 무대로 투자회사인 미국 티에스아이(TSI)의 관절치환수술로봇을 판매 해 왔다. 하지만회사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해외 투자뿐 아니라 직접 관련기술을 축적하고 독자로봇을 상용화 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라 지난해부터 수술로봇 브랜드 '큐비스(CUVIS)' 제품 개발에 주력했다.큐렉소는 큐비스-조인트의 국내 허가가 완료되면 사용 병원을 늘려 안정적인 임상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외 관절치환 임플란트 회사들과의 협력체계를 만들어 해외진출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원문: http://www.fnnews.com/news/201912170943505269
Date : 2019-12-18
파이낸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