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H] 의료로봇 전문 큐렉소 이재준 대표

Date : 2021-01-22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인 인구를 말한다.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다.
 
대한민국은 세계 유례가 없을 만큼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2020년 기준 주민등록상 인구통계에 따르면 60세 이상 인구는 1200만 명을 넘어 총인구의 25%에 육박하고 있다. 

고령사회가 되면서 노인들의 삶의 질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나이가 들면서 오랜시간 사용한 무릎 관절이나 척추 허리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점점 늘고있다.  

큐렉소는 환자들이 수술 받을때 적은 통증으로 빠른 회복을 돕는 의료로봇을 개발했다. 큐렉소 이재준 대표에게 의료로봇의 장점과 수술로봇 상황에 대해 들었다.



큐렉소는 어떤 회사 


큐렉소는 2011년 한국야쿠르트에 인수 된 후 2017년엔 현대중공업 의료연구 파트를 인수하면서 본격적인 의료로봇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수술로봇 독자브랜드인 큐비스(CUVIS)를 만들어 '큐비스-조인트', '큐비스-스파인' 및 '모닝워크' 등 다양한 의료로봇 제품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특히 본격적인 자체 의료로봇 판매를 시작한 지난 해 하반기 동안 약 18대의 의료로봇을 국내 및 해외 의료시장에 공급함으로서 국내 의료로봇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 세계 1위 Zimmer Biomet 임플란트인 'NexGen'의 국내 독점 총판으로 인공관절 유통 사업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큐렉소 주요 제품 소개


큐렉소는 인공관절수술로봇 '큐비스-조인트'와 척추수술로봇 '큐비스-스파인'이 있고, 재활치료용 '모닝워크'가 있습니다.

조인트는 인공관절 수술 시 뼈를 자동으로 절삭하는 인공관절 수술로봇 시스템입니다. CT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밀한 커팅, 최적의 Alignment(골반-무릎-발목을 일직선이 되게 뼈 절삭), 최소 뼈 절삭으로 수술오차 ? 부작용 ? 합병증 ? 재수술 가능성 및 재활기간 단축 등 장점이 많습니다. 중앙대학교병원, 대찬병원, 임플란트캐스트코리아 등 국내 다수 병원과 인도 Meril HealthCare 및 Sakra병원 등 해외 의료기관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스파인은 척추경 나사못을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고 지지해주는 척추수술로봇 시스템입니다. 고정밀의 로봇암(Robot-arm), 원스텝 수술도구, 실시간 위치추적센서를 기반으로 수술계획을 세우고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로 수술을 진행해 기존 매뉴얼 수술 대비 빠르고 정확한 수술이 가능합니다. 연대 신촌세브란스 병원), 연대 한국 의료로봇 교육훈련센터에서 사용중이며, 해외는 호주 LMT surgical PTY LTD에서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모닝워크는 발판기반형 보행재활 로봇시스템으로 착석형 체중지지방식의 타제품에 비해 환자 탑승 및 치료가 간편한게 장점입니다. 국내 15개 재활병원에서 사용중이며 인도네시아 3K에서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존 제품을 한층 업그레이드 한 S200 신제품도 곧 나옵니다.



주요 의료로봇에 대한 인허가 현황


현재 '큐비스-조인트'는 유럽 CE 인증, '큐비스-스파인'은 미국 FDA, 모닝워크 S200은 한국 MFDS 및 유럽 CE 인증을 각각 심사 중에 있으며 올해 2분기 안에 인증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큐비스-조인트'는 올 하반기 미국 FDA 인허가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세계 수술로봇 시장 규모는 어떤가요


조사기관에 따르면 수술로봇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18년 39억달러(약 4.7조원) 수준에서 2022년 65억달러(약 7.8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중 정형외과 수술로봇 시장은 2018년 3.7억달러(약 0.4조원)에서 2025년 21억달러(약 2.5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복강경 수술은 로봇수술이 대세입니다. 전립선, 갑상선, 부인과 질환 등 적용 분야도 점점 확대되고 있어 수술로봇 시장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해외 사례와 비교해 최근 주목하고 있는 분야가 있는지 


전세계적인 고령화로 인공관절 치환수술 환자의 지속적 증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2017년엔 세계 골관절염 환자가 4억 명 이상으로 삶의 질을 저해하는 대표적 질환이 됐습니다. 국내 수술 건수는 2018년 약 10만 건에서 2030년 20만 건 이상으로 증가가 예상됩니다.
 
최근 미국 중심으로 로봇기반 인공관절 치환수술 로봇 도입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수술 정확도를 높이고, 회복기간 단축을 통한 일상생활 복귀를 촉진한다는 결과가 발표되고 있고, 2019년까지 800대 이상 로봇이 보급되는 등 급격히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관절, 척추 등 뼈를 다루는 정형외과 분야 로봇 또한 미국을 중심으로 병원 도입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고, 주요 글로벌 정형외과 의료기기 기업들이 수술로봇 솔루션 확보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앞으로 정형외과 수술로봇은 더이상 새로운 기술이 아니라 효과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주요한 시스템으로 떠오르고 있어 매우 빠르게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큐렉소의 미래 비전


의료로봇을 중심으로 첨단 의료기술을 제공하는 글로벌 선도기업이 되는게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큐비스-조인트'의 경우 세계에서 4번째로 상용화에 성공한 인공관절 수술로봇으로 세계 의료로봇시장에서 큐렉소의 기술력을 인정 받았을 뿐 아니라 '큐비스-스파'인 및 '모닝워크' 역시 효율성에 있어서 기술력을 인정 받고 있습니다.

뼈, 척추 등 근골격계 질환과 뇌신경계 질환 수술과 치료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하고 근골격계 질환 및 뇌신경계 질환은 고령화에 따른 퇴행성 질환이 대부분으로 수술부터 효과적인 재활치료까지 치료 체계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큐렉소는 자체 기술로 전세계 의료로봇 시장에 의료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국내 No.1 의료로봇 전문기업은 물론 세계 의료로봇 시장에서 성공적인 플레이어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목록